ETF(상장지수펀드)는 주식 투자보다 간편하고, 펀드보다 유동성이 뛰어나 최근 투자자들에게 인기가 많습니다. 하지만 ETF 시장에 처음 진입하면 ‘KODEX’, 'Tiger', ‘액티브 ETF’, ‘TR(총수익지수)’, ‘인버스 ETF’ 등 다양한 용어들이 낯설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ETF의 핵심 용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1. ETF 운용사란? – 투자자의 돈을 관리하는 핵심 주체
ETF를 발행하고 운영하는 기관을 ETF 운용사라고 합니다. 개별 주식을 직접 매매하는 것과 달리, ETF는 운용사가 투자자의 자금을 모아 특정 지수나 테마에 맞게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 운용합니다. ETF 종목명을 보면 KODEX, TIGER, ACE 등을 많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이는 각 운용사를 나타내는 브랜드명입니다.
국내 주요 ETF 운용사 및 대표 상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운용사 | 브랜드명 | 대표 ETF 상품 | 특징 |
---|---|---|---|
삼성자산운용 | KODEX | KODEX 200, KODEX 레버리지, KODEX 인버스 | 국내 1위 운용사, 다양한 ETF 보유 |
미래에셋자산운용 | TIGER | TIGER 미국S&P500, TIGER 나스닥100, TIGER 200 | 글로벌 시장 중심 ETF 강세 |
KB자산운용 | KBSTAR | KBSTAR 200, KBSTAR 코스닥150 | 국내외 다양한 ETF 보유 |
한국투자신탁운용 | KINDEX | KINDEX 200TR, KINDEX 골드선물 | 금, 원자재 관련 ETF 강점 |
한화자산운용 | ARIRANG | ARIRANG 200, ARIRANG 고배당주 | 고배당 및 테마형 ETF 특화 |
NH-Amundi자산운용 | ACE | ACE 200, ACE 미국나스닥100 | 글로벌 시장 중심 ETF 보유 |
2. 액티브 ETF란? – 단순 추종이 아닌 적극적인 운용 전략
일반적인 ETF는 특정 지수를 그대로 따라가는 패시브(Passive) ETF입니다. 반면, 액티브(Active) ETF는 운용사가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수익률을 높이려는 전략을 씁니다.
액티브 ETF vs 패시브 ETF 비교
구분 | 액티브 ETF | 패시브 ETF |
---|---|---|
운용 방식 | 펀드매니저가 종목을 선정하여 운용 | 특정 지수를 그대로 추종 |
목표 | 시장 평균보다 높은 수익률 | 시장과 동일한 흐름 유지 |
대표 상품 | ARKK(아크 이노베이션 ETF), TIGER 미국테크액티브 | KODEX 200, SPY(S&P 500 ETF) |
수수료 | 비교적 높음 | 비교적 낮음 |
3. TR(총수익지수)와 인버스 ETF – 수익 계산 방식과 하락장 투자 전략
TR(총수익지수, Total Return Index)란?
ETF가 추종하는 지수에는 두 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 PR(Price Return Index, 가격지수): 주가 변동만 반영
- TR(Total Return Index, 총수익지수): 주가 변동 + 배당금까지 포함
최근 해외 주식형 TR을 금지하도록 법안이 개정되었습니다. 이는 배당금을 그때 그때 과세하겠다는 의도로 생각하면 됩니다. 바꾸어 말하면, TR ETF는 배당금을 재투자하는 방식으로 계산되므로 장기적으로 더 높은 복리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인버스 ETF란?
인버스(Inverse) ETF는 특정 지수가 하락할 때 수익이 나는 상품입니다. 주식시장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될 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인버스 ETF의 종류
- 일반 인버스 ETF: 지수가 -1% 하락하면, ETF는 +1% 상승
- 예) KODEX 인버스, TIGER 200 인버스
- 레버리지 인버스(곱버스) ETF: 지수가 -1% 하락하면, ETF는 +2% 상승
- 예) KODEX 200선물 인버스2X (일명 ‘곱버스’)
하지만 인버스 ETF는 장기 보유 시 원래의 지수 변동과 수익률 차이가 커질 수 있어 단기 투자용으로 적합합니다.
✅ 초보 투자자를 위한 TIP
- 인버스 ETF는 하락장에서만 유리하므로 타이밍을 잘 맞춰야 함
- TR ETF는 장기 투자자에게 유리한 구조
- 액티브 ETF는 적극적인 운용이 필요한 투자자에게 적합
결론 – ETF 용어 정리, 이제 자신 있으신가요?
ETF는 초보 투자자에게 매력적인 투자 수단이지만, 다양한 용어와 개념이 존재합니다. ETF 운용사의 역할, 액티브 ETF와 패시브 ETF의 차이, TR(총수익지수)와 인버스 ETF의 특징을 이해하면, 더 전략적으로 투자할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생소한 개념일 수 있지만, 자주 접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익숙해질 것입니다. 이제 자신에게 맞는 ETF를 선택하고, 보다 스마트한 투자를 시작해 보세요!